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5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2위 셀트리온 3위 SK바이오사이언스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3년 4월 16일부터 2023년 5월 16일까지의 135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59,957,846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 분석을 하였다. 지난 4월 브랜드 빅데이터 63,481,910개와 비교하면 5.55%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하였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를 측정할 수 있다. 브랜드의 마케팅 시장지표 분석과 정성평가를 포함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3년 5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헬스케어, 한미약품, SK바이오팜, 유한양행, HLB, 박셀바이오, 종근당, 한미사이언스, 삼천당제약, 녹십자, 신풍제약, 대웅제약, 셀트리온제약, 에스티팜, 일동제약, 한올바이오파마, HK이노엔, 보령제약, 대웅, 동국제약, 코미팜, HLB생명과학, 제일약품, 삼성제약, 대원제약, 동화약품, 프롬바이오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475,696 소통지수 568,335 커뮤니티지수 543,354 시장지수 11,478,78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3,066,171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12,295,027과 비교해보면 6.27% 상승했다.
2위, 셀트리온 브랜드는 참여지수 187,242 소통지수 53,330 커뮤니티지수 86,003 시장지수 4,826,59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153,170으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7,486,650과 비교해보면 31.17% 하락했다.
3위, SK바이오사이언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501,307 소통지수 355,449 커뮤니티지수 402,630 시장지수 1,291,19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550,579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2,004,798과 비교해보면 27.22% 상승했다.
4위, 셀트리온헬스케어 브랜드는 참여지수 85,202 소통지수 24,834 커뮤니티지수 28,725 시장지수 2,352,81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491,574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3,283,210과 비교해보면 24.11% 하락했다.
5위, 한미약품 브랜드는 참여지수 296,809 소통지수 355,641 커뮤니티지수 394,939 시장지수 837,59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884,981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1,590,839와 비교해보면 18.49%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5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삼성바이오로직스 ( 대표 존림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4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3,481,910개와 비교하면 5.55%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9.48% 하락, 브랜드이슈 2.33% 상승, 브랜드소통 22.50% 하락, 브랜드확산 2.83%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 소장 구창환 ) 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2023년 5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지수는 2023년 4월 16일부터 2023년 5월 16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2023년 5월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헬스케어, 한미약품, SK바이오팜, 유한양행, HLB, 박셀바이오, 종근당, 한미사이언스, 삼천당제약, 녹십자, 신풍제약, 대웅제약, 셀트리온제약, 에스티팜, 일동제약, 한올바이오파마, HK이노엔, 보령제약, 대웅, 동국제약, 코미팜, HLB생명과학, 제일약품, 삼성제약, 대원제약, 동화약품, 프롬바이오, 하나제약, 지놈앤컴퍼니, 광동제약, 부광약품, 메드팩토, 종근당바이오, 휴온스, 일양약품, JW중외제약, 영진약품, 현대약품, 차백신연구소, 바이오플러스, 삼일제약, 화일약품, 동아에스티, 코오롱생명과학, 동구바이오제약, 한국파마,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HLB제약, 콜마비앤에이치, 유나이티드제약, 경보제약, 삼진제약, 한독, 비씨월드제약, 동성제약, 이연제약, 바이넥스, 대화제약, 대한약품, 네오이뮨텍,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씨티씨바이오, 압타바이오, 경남제약, 국전약품, 티움바이오, 명문제약, 이수앱지스, 경동제약, CMG제약, 휴온스글로벌, 조아제약, 일성신약, 삼아제약, HLB테라퓨틱스, 제일바이오, 휴메딕스, 엔지켐생명과학, 안트로젠, 중앙백신, JW생명과학, 유유제약, JW신약, 테라젠이텍스, 신일제약, 에스씨엠생명과학, 아이큐어, 고려제약, 환인제약, 국제약품, 에이비온, 안국약품, 퓨쳐켐, 카이노스메드, 뉴트리, 녹십자웰빙, 비보존제약, 노바렉스, 진바이오텍, 대한뉴팜, 큐라클, 바이젠셀, 서울제약,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팜젠사이언스, 한국유니온제약, 아미노로직스, 지트리비앤티, 휴럼, 더메디팜, 위더스제약, 진양제약, 하이텍팜, 비피도, 신신제약, 대성미생물, 비엘팜텍, 알리코제약, 에이프로젠H&G, 에스텍파마, 에이치엘사이언스, 코스맥스엔비티, KPX생명과학, 대봉엘에스, 씨케이에이치, 우진비앤지, 코스맥스비티아이, 에이디엠코리아, 드림씨아이에스, 팜스빌, 씨엔알리서치, 더블유에스아이 이다.
축하 게시판 규칙
회원 가입을 하시면 하루에 3개의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스팸성, 홍보, 명예훼손이 될 수 있는 글은 삭제됩니다.
악의적인 비방을 반복적으로 작성한 경우 회원 탈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