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2위 셀트리온 3위 셀트리온헬스케어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3년 2월 16일부터 2023년 3월 16일까지의 135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0,505,191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 분석을 하였다. 지난 2월 브랜드 빅데이터 63,347,837개와 비교하면 4.49%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하였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를 측정할 수 있다. 브랜드의 마케팅 시장지표 분석과 정성평가를 포함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3년 3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팜, 유한양행, 한미약품, HLB, 대웅제약, 셀트리온제약, 녹십자, 신풍제약, 종근당, 일동제약, 한미사이언스, 에스티팜, 경남제약, 대웅, 삼천당제약, 보령제약, HK이노엔, 삼성제약, 동국제약, 박셀바이오, 프롬바이오, 바이오플러스, 제일약품, 동화약품, 대원제약, 하나제약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212,696 소통지수 154,616 커뮤니티지수 265,715 시장지수 11,536,39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169,424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12,853,238과 비교해보면 5.32% 하락했다.
2위, 셀트리온 브랜드는 참여지수 1,021,818 소통지수 457,741 커뮤니티지수 961,820 시장지수 4,325,64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767,021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5,835,978과 비교해보면 15.95% 상승했다.
3위, 셀트리온헬스케어 브랜드는 참여지수 396,307 소통지수 160,750 커뮤니티지수 358,906 시장지수 1,866,95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782,919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2,374,248과 비교해보면 17.21% 상승했다.
4위, SK바이오사이언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389,344 소통지수 132,942 커뮤니티지수 323,386 시장지수 1,114,05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959,722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2,434,266과 비교해보면 19.49% 하락했다.
5위, SK바이오팜 브랜드는 참여지수 131,391 소통지수 60,639 커뮤니티지수 301,809 시장지수 1,036,40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530,246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1,660,046과 비교해보면 7.82%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3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삼성바이오로직스 ( 대표 존림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2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3,347,837개와 비교하면 4.49%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5.50% 상승, 브랜드이슈 2.26% 하락, 브랜드소통 15.14% 하락, 브랜드확산 3.21%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 소장 구창환 ) 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2023년 3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지수는 2023년 2월 16일부터 2023년 3월 16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2023년 3월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팜, 유한양행, 한미약품, HLB, 대웅제약, 셀트리온제약, 녹십자, 신풍제약, 종근당, 일동제약, 한미사이언스, 에스티팜, 경남제약, 대웅, 삼천당제약, 보령제약, HK이노엔, 삼성제약, 동국제약, 박셀바이오, 프롬바이오, 바이오플러스, 제일약품, 동화약품, 대원제약, 하나제약, 일양약품, 현대약품, 화일약품, 휴온스, 부광약품, HLB생명과학, JW중외제약, 영진약품, 한올바이오파마, 광동제약, 동아에스티, 코미팜, 한독, 유나이티드제약, 코오롱생명과학,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뉴트리, 동성제약, 안트로젠, 콜마비앤에이치, 경보제약, 삼진제약, 동구바이오제약, 국제약품, 명문제약, 대화제약, 삼일제약, HLB제약, 바이넥스, 이연제약, 네오이뮨텍, 차백신연구소, 아이큐어, 한국파마, 메드팩토, 휴온스글로벌, 종근당바이오, HLB테라퓨틱스, 일성신약, 경동제약, 비보존 헬스케어, 조아제약, 압타바이오, CMG제약, 유유제약, 씨티씨바이오, 신일제약,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지놈앤컴퍼니, 휴메딕스, JW생명과학, 엔지켐생명과학, 이수앱지스, 국전약품, JW신약, 휴럼, 안국약품, 환인제약, 녹십자웰빙, 카이노스메드, 티움바이오, 퓨쳐켐, 에스씨엠생명과학, 진바이오텍, 노바렉스, 비씨월드제약, 큐라클, 위더스제약, 테라젠이텍스, 하이텍팜, 삼아제약, 대한뉴팜, 서울제약, 대한약품, 바이젠셀, 중앙백신,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한국유니온제약, 아미노로직스, 신신제약, 에스텍파마, 에이비온, 에이치엘사이언스, 팜젠사이언스, 고려제약, 알리코제약, 진양제약, 비피도, KPX생명과학, 대성미생물, 초록뱀헬스케어, 제일바이오, 대봉엘에스, 코스맥스엔비티, 지트리비앤티, 더블유에스아이, 에이디엠코리아, 에이프로젠H&G, 우진비앤지, 씨케이에이치, 비엘팜텍, 코스맥스비티아이, 팜스빌, 드림씨아이에스, 씨엔알리서치 이다.
축하 게시판 규칙
회원 가입을 하시면 하루에 3개의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스팸성, 홍보, 명예훼손이 될 수 있는 글은 삭제됩니다.
악의적인 비방을 반복적으로 작성한 경우 회원 탈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