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2년 1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전자 2위 SK하이닉스 3위 SK스퀘어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반도체 상장기업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하였다. 2022년 11월 6일부터 2022년 12월 6일까지의 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81,605,564개를 분석하였다. 지난 11월 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73,904,764개와 비교하면 10.42%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하였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시장평가, 사회가치활동으로 측정된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2년 12월 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SK스퀘어, 한미반도체, 하나마이크론, WI, DB하이텍, 미코, 동진쎄미켐, 리노공업, 네온테크, 원익IPS, 신성이엔지, 하나머티리얼즈, 유진테크, 기가레인, 주성엔지니어링, KEC, 솔브레인, 해성디에스, ISC, 엠케이전자, 네패스, 제우스, 젬백스, SFA반도체, 코미코, 에스앤에스텍, 이오테크닉스, 제주반도체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삼성전자 ( 대표 한종희, 경계현 ) 브랜드는 참여지수 4,667,801 미디어지수 3,352,668 소통지수 3,776,984 커뮤니티지수 3,103,094 시장지수 36,258,21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1,158,759로 분석되었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47,376,837과 비교하면 7.98% 상승했다.
2위, SK하이닉스 ( 대표 박정호, 관노정 ) 브랜드는 참여지수 532,190 미디어지수 806,729 소통지수 714,928 커뮤니티지수 554,334 시장지수 6,087,62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695,806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8,506,412와 비교하면 2.23% 상승했다.
3위, SK스퀘어 ( 대표 박정호 ) 브랜드는 참여지수 60,630 미디어지수 54,552 소통지수 79,264 커뮤니티지수 1,127,853 시장지수 513,62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835,921로 분석되었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1,234,138과 비교하면 48.76% 상승했다.
4위, 한미반도체 ( 대표 곽동신 ) 브랜드는 참여지수 88,688 미디어지수 91,061 소통지수 120,059 커뮤니티지수 768,136 시장지수 130,38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198,329로 분석되었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796,946과 비교하면 50.37% 상승했다.
5위, 하나마이크론 ( 대표 이동철 ) 브랜드는 참여지수 54,954 미디어지수 57,035 소통지수 69,865 커뮤니티지수 776,272 시장지수 51,36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009,487로 분석되었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337,036과 비교하면 199.52%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2년 12월 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결과, 삼성전자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11월 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73,904,764개와 비교하면 10.42%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 소비 3.02% 상승, 브랜드 이슈 1.62% 상승, 브랜드 소통 36.28% 상승, 브랜드 확산 34.33% 상승, 브랜드 시장 4.95%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소장 구창환 ) 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이번 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지수는 2022년 11월 6일부터 2022년 12월 6일까지의 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2022년 12월 반도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한 브랜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SK스퀘어, 한미반도체, 하나마이크론, WI, DB하이텍, 미코, 동진쎄미켐, 리노공업, 네온테크, 원익IPS, 신성이엔지, 하나머티리얼즈, 유진테크, 기가레인, 주성엔지니어링, KEC, 솔브레인, 해성디에스, ISC, 엠케이전자, 네패스, 제우스, 젬백스, SFA반도체, 코미코, 에스앤에스텍, 이오테크닉스, 제주반도체, 티씨케이, 원익QnC, 피에스케이, 테스, 에이티세미콘, 코세스, 텔레칩스, 에프에스티, 나인테크, 인텍플러스, 아이텍, 엘비세미콘, 에이디테크놀로지, 유니트론텍, 넥스틴, 테크윙, 코디엠, 티엘비, 에스티아이, 에이피티씨, 싸이맥스, 어보브반도체, 엔투텍, 유니셈, 유니테스트, 지오엘리먼트, 칩스앤미디어, 네패스아크, 케이씨텍, 오션브릿지, 뉴파워프라즈마, 월덱스, 오킨스전자, 미래산업, 엘오티베큠, 아진엑스텍, 타이거일렉, 시스웍, 덕산하이메탈, GST, 오로스테크놀로지, 디아이, 예스티, 라온테크, 램테크놀러지, 에이팩트, 시그네틱스, 티에스이, 유니퀘스트, 앤씨앤, 디엔에프, 오디텍, 와이아이케이, 바른전자, 케이씨, 지니틱스, 프로텍,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한양디지텍, 엘비루셈, 서플러스글로벌, 제이티, 큐에스아이, 네오셈, 메카로, 성우테크론, 아이원스, 엑사이엔씨, 마이크로프랜드, 엑시콘, 윈팩, KMH하이텍, 다믈멀티미디어, 씨앤지하이테크, 픽셀플러스, 제너셈, 엔시트론, 피델릭스, 피에스엠씨, 엔지스테크널러지 이다.
축하 게시판 규칙
회원 가입을 하시면 하루에 3개의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스팸성, 홍보, 명예훼손이 될 수 있는 글은 삭제됩니다.
악의적인 비방을 반복적으로 작성한 경우 회원 탈퇴 됩니다.